안녕하세요~ 오늘도 새로운 책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 오늘은 박지원의 ‘국어과 선생님이 뽑은 한국 고전 소설’이라는 책을 읽어보았습니다. 최근 청소년들에게 고전 문학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이 책은 정말 매력적이었어요. 특히 제가 고전 소설을 읽는 기회가 많지 않다 보니 더 특별하게 느껴졌죠. 아마 이 책을 읽어보시면 많은 분들이 고전 소설의 매력에 흠뻑 빠지게 될 것 같아요!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바로 구매하세요!
국어과 선생님이 뽑은 한국 고전 소설
박지원
국어과 선생님이 뽑은 수능 논술 청소년 필독서
중·고등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 고전 소설
목차
- 서문 …………………………………………………………
- 해설 …………………………………………………………
- 신 화
- 단군 신화(작자 미상) ………………………………
- 주몽 신화(작자 미상) ………………………………
- 박혁거세 신화(작자 미상) …………………………
- 설 화
- …
이 책은 고전 소설과 함께 신화와 설화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내용을 다루고 있어요. 특히 저는 ‘단군 신화’와 ‘주몽 신화’를 읽으며 한국 전통사상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됐습니다. 제가 고등학교 시절에 배운 것과 연결되면서 친숙한 느낌이 드는 동시에, 문학적 기법을 통해 전통의 가치에 대해서도 깊이 고민하게 되었어요. 또한, 이 책은 단순히 고전 문학 작품을 나열한 것이 아니라 대한 대한 감상과 분석도 곁들여져 있어서 좋았습니다.
박지원의 글은 그 자체로 한 편의 서사시처럼 풍요롭고도 우아합니다. 인용된 작품들을 통해 그는 그 당시 사람들의 삶과 가치관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런 세밀함 덕택에 저는 문학 속에 숨겨진 메시지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고, 우리의 삶을 돌아보는 소중한 시간을 가질 수 있었어요. 옛 이야기를 읽다 보면 왜 사람들이 고전을 통해 여전히 새로운 것을 느끼는지 깨닫게 되더라고요.
이 책은 특히 청소년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중고등학생 시절에 읽었던 고전 문학은 지금 생각해보니, 인생관이나 가치관 형성에 세심하게 영향을 미쳤거든요. 저보다 더 어린 친구들에게도 만약 고전 소설을 공부하고자 한다면 이 책을 강력히 책 추천합니다. 고전 문학을 통해 과거의 지혜를 배우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익히고, 나아가 미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저자 ‘박지원’에 대하여
朴趾源 1737∼1805 조선후기 문신·학자이며 호는 연암(燕巖), 자는 중미(仲美), 시호는 문도공이다. 16세에 처삼촌인 영목당 이양천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20대에 이미 뛰어난 글재주를 보였으며, 30대에 세상에 널리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박제가·이서구 등과 학문적으로 깊은 교류를 가졌으며, 홍대용·유득공 등과는 이용후생에 대해 자주 토론하고 함께 서부 지방을 여행하기도 하였다. 1765년 과거에 낙방하자 오직 학문과 저술에만 전념하다가 1780년(정조 4) 팔촌 형인 박명원을 따라 중국에 가서 청나라 문물을 두루 살피고 왔다. 이연행(燕行)을계기로하여충(忠)·효(孝)·열(烈) 등과 같은 인륜적인 것이 지배적이던 전통적 조선 사회의 가치 체계로부터 실학, 즉 이용후생의 물질적인 면으로 가치 체계의 변화를 가져 오게 되었다. 그때 보고 듣고 한것을 기행문체로 기술한 〈열하일기〉 26권을남겼는데, 여기에는 〈양반전〉, 〈허생전〉, 〈호질〉 등 주옥같은 단편 소설들이 실려 있다. 그는 서학에도 관심을 가져 자연과학적 지식의 문집으로 〈연암집〉이 있고, 저서로는 〈열하일기〉 〈과농소초〉 등이 전하며 연행 뒤 〈열하일기〉를 지어 백성에게 이롭고 나라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 비록 이적(夷狄)에게서 나온 것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취하여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786년 음사로 선공감 감역이 되어 늦게 관직에 들어서서 사복시주부 · 한성부판관 · 면천군수 등을 거쳐 1800년 양양부사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문장가로서 뛰어난 솜씨를 보여 정아한 이현보의 문장과 웅혼한 그의 문장은 조선 시대 문학의 쌍벽으로 평가되고 있다. 희화(戱畵)·풍자(諷刺)의 수법과 수필체의 문장들은 문인으로서의 역량을 잘 나타내 주는 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열하일기〉, 〈허생전〉, 〈양반전〉, 〈호질〉, 〈민옹전〉, 〈광문자전〉, 〈김신선전〉, 〈역학대도전〉, 〈봉산학자전〉, 〈과농소초〉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미래와 과거의 교차점에서 생각하고 고민해보게 되었습니다! 소설 속에서 인물들이 경험하고 겪었던 여러 이야기들은 저에게 큰 깨달음을 주었고, 고전 문학을 통해 배우는 가치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국어과 선생님이 뽑은 한국 고전 소설’은 단순한 문학적 감상 너머에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지혜가 담긴 좋은 책입니다. 저는 이 책을 통해 과거의 지혜를 통해 현대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사람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기도 하네요! 지혜를 만나고 싶다면 꼭 읽어보세요~ 감사합니다!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바로 구매하세요!
📚 다른 책도 둘러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