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새로운 책에 도전해보았습니다:) 오늘은 이철희 교수의 ʻ일할 사람이 사라진다ʼ라는 책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이 책은 현재 대한민국이 당면한 인구 위기와 그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에 대해 다루고 있어요. 사실, 저 스스로도 이런 주제에 관해 깊이 고민해보지 않았던 터라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은 깨달음을 얻었답니다.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하세요!
일할 사람이 사라진다
이철희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인구클러스터장 이철희 교수의
노동위기 대한민국 생존 전략!
목차
- 추천의 말
- 머리말
- 1장 안개 속에 싸인, 가리어진 길
- 인구 규모는 클수록 좋은가
- 14세기 유럽의 흑사병이 인구변화에 미친 영향
- 21세기 한국의 인구위기: 너무 많이, 너무 빨리 줄어들고 있다
- 21세기 한국의 인구위기: 복잡하고 대응하기 어려운 도전
- 인구변화 대응 능력은 나아졌고 위기 극복의 희망은 있다
- 아직 정해지지 않은 어슴푸레한 미래를 조심스레 내다보기
- 2장 인구변화는 노동인구절벽으로 이어질까?
- 노동인구는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감소 속도는 생각보다 느릴 것이다
- 인구구조 변화가 생산성을 떨어뜨린다는 착각
- 인구절벽인가? 완만한 내리막길인가?
- 3장 인구변화로 일할 사람이 부족해질까?
- …
책의 내용을 읽다 보니 대한민국의 미래가 정해져 있지 않다고 말하는 이철희 교수의 주장에 큰 공감을 했습니다. 현재 한국의 인구는 최악의 저출생 문제와 고령화 사회 문제로 심각한 변화를 겪고 있다지만, 그 속도가 빨라서 더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란 점이 특히 걱정스러웠어요. 여러 통계 자료를 통해 알게 된 것은 현재의 3,674만 명의 생산연령 인구가 50년 뒤인 2072년에는 1,658만으로 줄어든다는 예측이에요. 이건 정말 충격적일 수밖에 없죠.
그렇다고 이 학생이 책을 덮고 포기하는 건 아니었어요. 이 책에서 이 교수가 여러 방안을 제시하는데, 특히 여성을 비롯한 중장년층의 노동 참여를 늘리고, 외국인 노동자 활용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부분이 인상 깊었어요. 미래의 노동시장에서 나이 든 노동력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주장에 있어서는 저도 정말 고개가 끄덕여졌답니다. 실제로 제 주변에서도 많은 분들이 그런 상황을 겪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개인적으로도 굉장히 이슈가 될 수 있다고 느껴요.
인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도 매우 인상 깊었어요.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인구 감소가 단순히 생명수와 관련된 것만으로 여기기 쉬운데, 실상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을 듣고 다시금 깊이 생각하게 되었답니다. 이 책은 저에게 눈을 떠주는 역할을 했고, 앞으로 인구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꼈습니다. 정말 이 책은 꼭 읽어봐야 하는 책 추천입니다!
저자 ‘ 이철희’에 대하여
시카고대 경제학과에서 수학했고, 동 대학 인구경제학연구소 연구원, 뉴욕주립대(빙엄턴) 경제학과 조교수를 거쳐, 1998년부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년간 학부와 대학원에서 ‘인구와 경제’ 과목을 강의하며 연구소와 대학에서 활약하는 많은 인구경제 연구자를 양성했다. 케임브리지대, UCLA, 옥스퍼드대 연구교수, 프랑스 국립인구연구소 방문학자,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 프로젝트 책임자, 미국 국가경제연구소(NBER) 연구원 등을 역임했고,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일자리위원회, 외국인정책위원회, 양성평등위원회 등 정부위원회 본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인구클러스터장을 맡고 있다. 《Early-Life Determinants of Health and Human Capital Formation》 《한국의 고령노동》 등의 단독 저서와 다수의 공동 저서를 출간했고, 국내외 학술지에 인구, 건강, 노동, 경제사에 관한 약 90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2007년에는 학문적 업적이 탁월한 45세 미만 경제학자에게 수여하는 한국경제학회 청람학술상을 수상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미래의 인구 문제와 노동시장의 흐름을 차분히 고민해 볼 수 있었던 것 같아 의미 깊은 독서 시간이었습니다. 이철희 교수의 깊이 있는 분석과 현실적인 제안들 덕분에 많은 깨달음을 얻었고, 특히 여성과 중장년층의 노동참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놓치지 말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네요. 저도 앞으로 이 책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제 직업과 일상에서 더 큰 변화를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농담처럼 말하지만, 현재 한국의 인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책은 보지 않으면 후회할 책 추천입니다!
책 추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