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윤리학회에서 출간한 ‘정치·사회 사상과 통일 교육’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이 책은 정치철학과 사회 사상을 유기적으로 엮어내며, 다양한 관점에서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이념들을 성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읽으면서 이 책이 왜 정치/사회 분야에서 64위에 올라 있는지 절실히 느꼈죠. 요즘 정치에 대한 관심이 부쩍 커지다 보니 이 책을 읽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 책 추천하고 싶습니다!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바로 구매하세요!
정치·사회 사상과 통일 교육
한국윤리학회
목차
- 1. 자유주의 및 공동체주의 사상 – 조일수
- 2.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화주의 -…
- 3. 대의 및 참여 민주주의 – 신호재
- 4. 하버마스와 롤스의 심의 민주주의 – 조…
- 5. 롤스의 정의론 – 김상범
- 6. 분배 정의 – 허윤희
- 7. 고전적 사회계약론 – 김형렬
- 8.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고민 – 임상수
- …
이 책의 첫 장은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사상을 다루고 있어서 눈길을 끌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자유주의 사상에 대해 깊은 이해가 부족했는데, 저자가 제시한 고전적 자유주의와 현대 자유주의에 대한 설명은 제 시각을 확장시켜 주었어요. 특히 샌델과 매킨타이어의 공동체주의에 대한 비판은 이론적으로 매우 흥미롭고 깊이 있는 논의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공화주의에 대해 배우게 되는데, 공화주의가 어떻게 도덕교육과 연결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면서 시민교육의 중요성을 새삼 느끼는 계기가 되었죠.
저자 ‘한국윤리학회’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지털민주주의 형성을 위한 민주시민성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충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정치철학 및 정치사상, 시민 교육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왈쩌(M. Walzer)의 정의 전쟁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공화주의적 애국심에 대한 연구」, 「공화주의적 시민성에 대한 연구」, 「정치적 의무의 정당성 여부에 대한 연구」, 「학교 시민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애국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양립가능성 연구」, 「디지털 시민의식에 대한 규범적 연구」, “Digital Democracy and the Citizenship for the Information Age” 등이 있고, 『정보화시대의 사이버윤리』(공역)를 번역하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다양한 정치적 사상들이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정치와 사회에 대한 심도 깊은 탐구는 저에게 큰 감동을 주었고, 앞으로의 사회 변화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갖출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통일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에 대한 논의는 정말 끊임없이 고민해야 할 주제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네요. 제가 이 책 추천할 이유가 찾아지네요! 여러분도 이 책을 통해 통일 교육과 관련된 이론적 토대를 다져보시면 좋겠습니다.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바로 구매하세요!
📚 다른 책도 둘러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