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 책 리뷰

『회복탄력성(15만부 기념 리커버)』, 자기계발 분야 38위 – 책 추천!

안녕하세요! 오늘도 새로운 책에 도전해보았습니다 🙂 오늘 소개하고 싶은 책은 바로 김주환 교수의 『회복탄력성(15만부 기념 리커버)』입니다. 요즘처럼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 필요한 회복탄력성이라는 개념을 다룬 이 책에는 우리가 역경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일깨워주는 소중한 내용이 가득하더라고요. 제가 흔히 겪는 일상 속 좌절과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이 이 책에 담겨있지 않을까 싶어 이렇게 블로그에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도 힘든 순간에 이 책을 통해 긍정적인 에너지를 받아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볼까요!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하세요!





회복탄력성(15만부 기념 리커버)

김주환

인생의 큰 시련 앞에 좌절하지 않고 극복해내는 사람들의 비밀!

『회복탄력성(15만부 기념 리커버)』, 자기계발 분야 38위 – 책 추천!

목차

  • | 프롤로그 | 회복탄력성은 소통능력과 진정한 행복감에서 온다
  • PART 01 마음의 근력, 회복탄력성
  •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 -역경을 극복하는 힘
  • 역경에 대처하는 사람들
  • -서울대 이상묵 교수의 경우
  • -SBS 그것이 알고싶다
  • -에이미 멀린스의 경우
  • -패트리샤 휘웨이, 조앤 롤링, 안데르센의 경우
  • -시한부 생명을 선고받은 경우
  • 회복탄력성을 발견하다
  • -다니엘 캐니만 교수의 대장내시경 실험
  • -하와이 카우아이 섬에서 있었던 일
  • PART 02 나의 회복탄력성 지수는 얼마인가
  •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의 개발

『회복탄력성』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역경을 극복하는 힘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강한 회복 탄력성을 지닌 이들이 어떤 생각과 행동으로 힘든 상황을 이겨내는지를 탐구하게 되었어요. 여러 사례들이 소개되었는데, 특히 서울대의 이상묵 교수나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나온 사례들은 쉽지 않은 상황에서도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처음에는 멀게 느껴졌던 ‘회복탄력성’이라는 개념을 가까이 느끼게 해주고, 저에게도 따뜻한 지혜를 주었습니다.

특히 회복탄력성은 태도와 마인드셋에 많은 영향을 받고, 이는 우리가 얼마나 긍정적인 감정을 가져갈 수 있는지와도 직결된다는 점을 깨달았어요. 김주환 교수는 자신의 연구를 통해 긍정성과 회복탄력성이 어떻게 우리 뇌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하였고, 뇌의 긍정적인 루트를 키우기 위한 훈련 방법도 적어놓았습니다. 이렇게 구체적인 실행법이 제공되니 마치 희망의 실마리를 손에 쥔 듯 실감이 나더라고요.

또한, 이 책에서 언급된 감사하기 훈련은 저에게 큰 인사이트를 주었습니다. 매일 밤 감사한 일을 다섯 가지 적어보라는 조언은 단순한 것이지만, 매일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정신적으로 자극을 받을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제가 그렇게 꾸준히 한다면 긍정적인 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싹트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회복탄력성은 단순히 역경을 극복하는 능력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힘으로 이어지는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어려운 시간을 겪고 계신다면 이 책 추천을 꼭 해드리고 싶습니다. 저처럼 긍정적이고 힘찬 변화의 계기를 마주하실 수 있을 거라고 믿어요!

저자 ‘ 김주환’에 대하여

현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언론홍보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주된 연구 및 강의분야는 내면소통, 명상, 마음 근력, 소통능력, 회복탄력성, 긍정적 정서의 효과, 휴먼커뮤니케이션, 스피치와 토론, 설득과 리더십, 뉴로사이언스 등이다. 신경과학과 뇌영상기법fMRI, EEG을 이용한 소통지능향상 연구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탈리아 정부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볼로냐 대학에서 움베르토 에코 교수에게 기호학을 사사했다. 연세대에 오기 전까지 미국 보스턴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2001년 한국 언론학회 신진교수 우수논문상과 2012년 한국HCI학회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2010년, 2011년 연속으로 연세대 우수강의교수로 선정되었다.
저서로 『그릿』,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 쓰기』,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스피치의 정석』, 『드라이브』 등이 있다. Scientific Reports, Social Neuroscience, NeuroImage, PLOS On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Journal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heory,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Political Commun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Human Studies, Semiotica, Psychological Reports 등의 학술지에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절망의 시대에서 긍정의 출구를 찾는 방법이 궁금해지네요. 회복탄력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는 『회복탄력성』은 정말 필독서라고 생각합니다! 자기계발을 원하시는 분들, 어려움 속에서 자신을 잃어버린 분들께 강력히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이 boek는 저 자신이 앞으로의 삶에서 필요한 감정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 같아요. 긍정적인 마음으로 함께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 책을 통해 많은 분들이 회복탄력성을 키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책 추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