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평범한 일상에서 성취를 이루는 데 필요한 강한 마음의 힘, 바로 ‘그릿’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김주환 교수의 이 책은 자기조절력(Tenacity), 대인관계력(Relatedness), 자기동기력(Intrinsic motivation)의 힘을 조명합니다. 그릿은 우리가 자녀를 양육하며 겪는 다양한 고민에 대한 실질적인 해답을 제공합니다. 가정과 육아의 현실에서 마주하는 여러 질문에 답을 줄 수 있는 이 책은, 성취의 원동력이 무엇인지 깊이 고민하게 만들죠. 그래서 꼭 추천하고 싶습니다!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게시물 최하단의 구매링크로 편리하게 구매하세요!
그릿
김주환
“왜 공부한 만큼 성적이 오르지 않는 걸까?”
스스로, 즐겁게, 끝까지 공부하는 마음근력 훈련법
★ 세계 최초로 GRIT 개념을 정립한 김주환 교수가
최신 연구 성과를 접목해 12년 만에 새롭게 출간!
★ 15만 독자가 감동한 《내면소통》의 이론을 자녀교육에 접목!
목차
- 프롤로그 그릿, 공부는 물론 무엇이든 다 잘 해내는 마음근력
- 1장 공부에 대한 오해와 착각
- 공부에 대한 우리의 편견과 오해
- 공부에 대한 오해가 자녀의 공부를 방해하고 있다 |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 공부를 잘한다는 것의 진짜 의미
- 첫 번째 오해, 지능과 성적은 유전된다?
- 아이가 공부를 못하는 건 부모의 머리가 나빠서인가? | 네덜란드의 겨울 기근이 우리에게 알려준 것
- 스트레스도 유전될 수 있다
- 두 번째 오해, 지능은 평생 변하지 않는다?
- 능력성장믿음 vs. 능력불변믿음 | 일부러 공부하지 않는 아이들 |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을 잘하는 이유
- 세 번째 오해, 일찍부터 선행학습을 시켜야 유리하다?
- 잘 노는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 | 학년이 오를수록 성적이 떨어지는 영재
- 2장 그릿, 모든 성취의 원동력
- 무엇이 성공을 이끌어내는가
- 비인지능력의 비밀
- 노력하는 것도 능력이다
- …
김주환 교수의 ‘그릿’을 읽고 느낀 것은 성취란 단순히 노력의 결과물이 아니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책은 지능과 성적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며 ‘그릿’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아마 많은 부모는 자녀의 성적 향상을 위해 선행학습을 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이 교수는 ‘공부는 고통을 참는 것이 아니다’라는 점을 명확하게 알려줍니다. 저는 이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 했습니다. 내 자녀가 행복해야만 진정한 성취도 가능하다는 사실이 마음 깊이 와 닿았습니다.
자녀를 키우면서 공부에 대한 걱정이 많은 저로서는 이 책이 큰 위안이 되었습니다. 특히 ‘자기조절력’과 ‘대인관계력’의 중요성은 그 동안 제가 간과했던 부분이었습니다. 저자는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통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이는 성적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합니다. 아, 그런 말이 있었죠? ‘행복한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라는 말. 이 책을 읽고 나니 그 말의 진리를 다시금 느끼게 되었어요.
책을 읽으며 제 자신도 돌아보았습니다. 당신도 알고 계시죠? 정말 진정한 노력은 과연 우리의 뇌가 지시한 대로 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우리가 무엇을 배우고, 즐기느냐의 문제인지요. 그래서 아이가 스스로 동기를 부여받아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이 와 닿았습니다. 미래를 위한 ‘그릿’은 평생의 자산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마음근력은 어떻게 길러낼까요? 지속적으로 긍정의 힘을 키우고, 재미를 느끼며 공부하게 하는 방법이 필요하겠죠. 저자는 우리 교육 시스템과 주변 부모의 잘못된 접근 방식이 오히려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합니다.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이런 방법들을 통해 아이의 내면에 숨겨진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것이 바로 이 책에서 전하는 메시지입니다. 그릿이란 결과물이 아닌, 과정 속에서 쌓이는 마음근력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개발이 결국 아이를 건강하고 행복한 사람으로 만들어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싶습니다.
저자 ‘ 김주환’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 언론홍보대학원장을 역임했다. 내면소통, 마음근력, 명상, 회복탄력성, 소통능력, 설득과 리더십 등을 가르치고 있으며, 뇌과학과 뇌영상 분석 기법을 이용해 내면소통과 명상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들의 연구 모임인 대한명상의학회에서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2017년부터 연세대학교 야구부 멘털 코치를 맡아 명상 훈련을 시키고 있으며, 2024년 7월 파리올림픽에서는 양궁 국가대표팀을 대상으로 3개월간 내면소통 명상에 기반한 마음근력 훈련을 실시해 올림픽 사상 최초로 5개 전 종목 금메달 석권에 일조하기도 했다. 고등학교 2학년 시절, 장자와 반야심경에 심취하여 명상 수행을 시작했다. 미국 쿤달리니요가 전문가과정(Guru Singh, LA Kundalini University: RYT 200)을 수료했으며, 과학적 명상 연구를 선도하는 MLI(The Mind and Life Institute)의 SRI(Summer Research Institute) 프로그램을 이수했다. 대한 조계종 출가학교를 졸업(50기)했고, 하트스마일명상 지도자과정을 수료했다. 국제 케틀벨 코치(레벨1)이며, 대한우슈협회 우슈(태극권) 7단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탈리아 정부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볼로냐대학에서 움베르토 에코 교수에게 기호학을 사사했으며, 연세대에 오기 전까지 미국 보스턴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내면소통》, 《회복탄력성》,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디지털미디어의 이해》 등이 있으며, 역서로 《알아차림에 대한 알아차림》, 《사물의 투명성》, 《셜록 홈스 기호학자를 만나다: 논리와 추리의 기호학》, 《드라이브》 등이 있다.
결국 ‘그릿’을 통해 우리는 단순히 공부를 잘하게 하는 것 이상을 배웠습니다. 이 책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길잡이이자, 부모로서의 책임을 일깨워주는 도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위로와 통찰을 통해 보다 나은 부모가 되고 싶다는 마음이 굉장히 커졌네요. 자신 있게 ‘그릿’을 책 추천합니다! 사랑하는 자녀들을 위한 소중한 가이드가 되어줄 것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행복한 마음으로 공부하고, 더 나아가 훌륭한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배워보세요.
책 추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