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새로운 책에 도전해보았습니다:)오늘은 김민정 외의 “역사 문해력, 어떻게 가르칠까”라는 책으로 역사교육의 본질을 탐구해보고 싶어요. 요즘 학생들이 정보의 진위와 출처를 습득하지 못하면 실제로 역사적 사고가 빠질 수 있다는 사실에 매우 경각심을 느끼고 있었거든요. 이 책은 제가 그런 의문을 풀어주기 위해 읽어본 책 중 하나입니다! 특히 디지털 시대에 살아가는 우리에게 정보 문해력은 더욱 중요해졌죠. 이 책을 통하여 역사 콘텐츠를 어떻게 접근하고 가르쳐야 할지, 다양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특별히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매우 유익한 내용으로 가득 차 있답니다!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바로 구매하세요!
역사 문해력, 어떻게 가르칠까
김민정 외
목차
- 1부 역사 문해력을 함양하는 교육과정
- 01 역사가의 자료 읽기를 모델로 하는 《역…
- 02 역사 쓰기를 지원하는 《읽기·탐구하기·…
- 03 교과 간 연계와 역사적 사고를 강조하는…
- 04 역사 탐구를 통해 식견 있는 시민성을 …
- 2부 역사 문해력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 …
책의 왼쪽 페이지부터 시작했는데 좀 읽기 힘든 부분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책의 참 맛을 알게 되는 듯 했어요. 역사 문해력이라는 개념을 통해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금 절감하게 되었죠.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교육과정 사례가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예를 들면, “역사가처럼 읽기” 교육과정은 학생과 역사 자료 간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교사가 어떻게 교습함으로써 학생들이 역사적 사건을 다각도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끌어가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 자신도 역사 교육의 방식과 자료 활용에 대해 다시금 성찰하게 되었죠. 특히, 학생들이 자료를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힘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소중한 책이 교사들에게 유의미할 것입니다. 정말 마음에 든 첫 번째 역사 문해력 관련 책으로 기억에 남을 것 같아요. 또, 2부에서는 그런 교육과정들을 비교·분석해주는데, 이 과정에서 제게는 역사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꿔줄 수 있는 귀중한 시사점을 준 것 같아요.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역사적 사고를 확장해가는 모습은 제가 누릴 수 없는 큰 기쁨 같았죠. 교육의 본질을 제대로 다룬 이 책, 교사뿐 아니라 모든 역사가들에게 꼭 필요한 도서가 아닐까 싶습니다. 또한, 이 책을 읽으며 느낀 것은 정보의 흐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이 시대에 학생들이 역사 문해력을 갖추기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정말 기뻤습니다. 다양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교사로서 고민할 것들이 너무 많은 날들인데, 이 책 한 권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그 밖에도, 한편으로는 디지털 시대에 어떻게 현대적 문제에 대응하는지를 말해주는데, 역사 교육이 어떻게 무관심 속에 사라질 수 없는지를 잘 보여주고 이전과는 다른 시각으로 역사 교육을 바라보게 해준 책이라는 점에서 제가 ‘책 추천’이라고 자신 있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네요!
저자 ‘김민정 외’에 대하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피츠버그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교 안팎의 교과서 서사의 역사적 연원을 규명하고, 해체적 읽기를 통해 역사적 사고를 도모하는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 방략, 교사교육에 관심이 있다.
결국, 이 책은 가르치는 방법과 배우는 태도, 그리고 학생의 역사 문해력을 기르는 데 매우 필수적인 높은 의식으로 가득 차 있는 자료로 느껴졌습니다! 초보 교사들이 역사 교육의 방향성을 명확하게 잡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해요. 각각의 역사적 사건과 자료를 통해 발전된 역사 문해력의 중요성을 깨닫고,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육의 기초를 쌓아가고 싶다는 의지를 다지게 해준 정말 유익한 읽을 거리였습니다. 이런 장르에서는 최고의 추천을 해줄 수 있는 꼭 읽어야 할 서적이죠!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바로 구매하세요!
📚 다른 책도 둘러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