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새로운 책에 도전해보았습니다:) 오늘 여러분께 소개할 책은 바로 한국현대소설학회의 ‘2025 올해의 문제소설’이랍니다. 이 책은 2024년 동안 발표된 중·단편소설 중에서 쟁쟁한 작가들의 작품을 모아 구성된 책으로, 새로운 문학적 감각과 세대적 감수성을 담고 있어요. 사실, 요즘 현대소설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궁금했는데, 이 책은 그런 궁금증을 완벽하게 해결해줬어요! 저도 최근에 시간이 나서 이 책을 읽어보았는데, 정말 몰입할 수밖에 없었답니다. 특히나 여러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감정선이 나의 과거와 담겨 있어서 더 큰 감동이 어우러졌지요~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하세요!
2025 올해의 문제소설
한국현대소설학회
새로운 문학적 감각과 세대적 감수성의 창발적 진화,
그 신호탄을 쏘아 올리는 소설들
목차
- ■ 책머리에
- 김병운|만나고 나서 하는 생각
- [작품 해설] 속죄의 깊이와 보상_ 신종곤
- 서고운|여름이 없는 나라
- [작품 해설] 피로사회에서 ‘함께’ 살기_ 김지영
- 서장원|리틀 프라이드
- [작품 해설] 누군가의 삶이 스크롤 될 때_ 곽승숙
- 성해나|스무드
- [작품 해설] 약한 연결_ 김남혁
- 예소연|작은 벌
- [작품 해설] 허위적 삶에서 진실한 얽힘으로_ 신제원
- …
이 책에서는 여름이 없는 나라의 피로사회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인간의 고독함과 연대감을 느낄 수 있는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김병운의 ‘만나고 나서 하는 생각’은 주인공이 내면의 반전을 깨닫게 되면서 고뇌하는 모습이 마치 내 이야기를 듣는 듯했어요. 대학원 시절, 인간관계에서의 소외감이 애틋하게 다가왔던 기억이 떠오르더라고요. 서고운의 ‘여름이 없는 나라’를 읽으면서는 잊고 살았던 소중한 인연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고, 높아져 가는 삶의 무게와 서로 기대고 살아가는 결속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각 작품들이 분명 각기 다른 이야기들이지만, 결국 우리가 겪어온 삶의 온기를 느끼게 해줘요. 때론 두려움이 가득한 일상이지만, 서로의 숨결을 느끼며 알이 꽉 찬 삶을 이어가는 모습이 참 아름답습니다. 이러한 본질적인 감정들은 정말 오랜만에 느껴본 것 같아요. 그래서 이 책을 정말 추천하고 싶어요! 각 세대의 여러 다양한 목소리들을 ‘2025 올해의 문제소설’에서 만나보세요. 새로운 문학적 감각과 감수성을 느끼며, 이 책을 통해 다시 한 번 삶의 깊은 의미를 성찰해보는 경험이 될 거에요.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며 느낀 감정들이 일반적으로 느끼게 되는 감정이 아니라, 그 이상의 뭔가를 느끼게 해주더라고요. 장르와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하는 작가들의 생각을 느낄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저도 모르게 책 속으로 빠져들게 되었어요. 그래서 확신합니다. 저처럼 현대소설에 대한 갈증이 있으신 분들, 이 책은 꼭 읽어보셔야 해요! 정말 깊이 있는 작품들이 모여 있으니까요.
저자 ‘ 한국현대소설학회’에 대하여
현대소설 분야를 전공하면서 ‘한국의 현대소설’을 강의하고 있는 교수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연구학회이다. 이 학술단체는 현대소설을 연구하고 자료를 발굴·정리하며 연구 결과의 평가를 통해 이론을 정립, 한국 현대소설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2025 올해의 문제소설’은 단순한 읽을거리를 넘어 한 편의 감정여행이었습니다! 다양한 작가의 감수성을 느끼고,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하게 해준 책이기에, 다시금 이 자리를 빌어 추천 드리고 싶어요. 만약 현대소설이 주는 흡입력 있는 문장들과 캐릭터들에 흥미가 생기셨다면, 이 책에서 충분히 그 해답과 힘을 찾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독서란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 많은 위로와 용기가 필요한 때, 가장 큰 친구가 되어주더라고요. 그러니 꼭 이 책을 한 번 펼쳐보시면 좋겠어요!
책 추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