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새로운 책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 오늘은 제가 최근에 읽고 정말 감명 깊었던 책, 바로 무라카미 하루키의 ‘직업으로서의 소설가’입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제 인생의 많은 부분을 돌아보게 되었고, 하루키라는 작가의 깊이 있는 생각들을 엿볼 수 있었답니다. 사실, 요즘 저도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제 글을 어떻게 하면 더 잘 쓸 수 있을까 고민하고 있었거든요. 그렇게 문학과 생활이 밀접하게 연결된 하루키의 철학을 접하니 더 마음이 깊어졌어요. 그래서 오늘 이 책 추천을 하게 되었답니다!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게시물 최하단의 구매링크로 편리하게 구매하세요!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무라카미 하루키의 성실하고도 강력한 사고의 궤적.
목차
- 제1회 소설가는 포용적인 인종인가
- 제2회 소설가가 된 무렵
- 제3회 문학상에 대해서
- 제4회 오리지낼리티에 대해서
- 제5회 자, 뭘 써야 할까?
- 제6회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든다-장편소설 쓰기
- 제7회 한없이 개인적이고 피지컬한 업業
- 제8회 학교에 대해서
- 제9회 어떤 인물을 등장시킬까?
- 제10회 누구를 위해서 쓰는가?
- 제11회 해외에 나간다. 새로운 프런티어
- 제12회 이야기가 있는 곳ㆍ가와이 하야오 선생님의 추억
- 후기
‘직업으로서의 소설가’라는 제목이 말해주듯, 이 책은 단순히 하루키의 문학에 대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의 삶을 통한 경험담, 소설가로서의 고뇌와 기쁨이 진솔하게 담겨 있어요. 하루키는 이 책에서 자신의 경로를 돌아보며 자주 강조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글쓰기는 고통이 아니다, 즐거운 일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에요. 처음 소설을 쓰기 시작했을 때의 뜨거운 감정과 즐거움을 잃지 말라는 조언은 저에게 큰 격려가 되었답니다.
책의 각 장은 명쾌하게 그의 여러 생각들을 풀어냅니다. 작가가 되어가는 과정, 완벽한 오리지낼리티를 추구하는 모습은 정말 인상 깊었고, 또한 ‘누구를 위해서 쓰는가?’라는 질문에는 깊은 고민이 필요한 순간이겠죠. 이 질문은 단순히 작가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해당되는 것 같아요. 우리의 삶, 우리의 직업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 것인지를 되새겨본다는 것은 정말 중요하니까요.
하루키는 또 ‘소설 쓰기는 자기 치유의 과정’이라 말합니다. 자신의 내면과의 대화를 통해 그가 가지는 생각과 감정들이 서로 연결된 모습이 아름다웠습니다. 이 부분을 읽으며, 저도 글쓰기를 통해 제 감정을 표현하고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싶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어요. 이 책은 단순한 작가론을 넘어서 여러분이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는 계기가 될 거라고 확신합니다.
결국, 무라카미 하루키는 그저 대단한 작가가 아니라, 자신의 삶을 탐구하는 하나의 지혜로운 유목민과도 같았어요. 그의 시선에서 지나가는 세상을 좇아가면서, 제가 세상을 바라보는 눈도 조금 더 성숙해진 것 같았습니다. 그리하여, 이 책은 사소한 것에서 시작해 큰 깨달음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이 책 추천을 꼭 하게 되고요, 많은 분들이 읽어보십시오!
저자 ‘ 무라카미 하루키’에 대하여
저자 무라카미 하루키는 일본의 작가, 미국 문학 번역가. 1949년 교토에서 태어났다. 와세다 대학교 제1문학부 연극과 졸업. 대학 재학 중에 결혼하여 1974년부터 칠 년여 동안 아내와 재즈 카페를 운영했다. 서른 살을 앞둔 1978년 도쿄 신주쿠 진구 구장에서 열린 프로야구 개막전에서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1번 타자 데이브 힐턴이 2루타를 날린 순간 불현듯 자신이 소설을 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고, 그날 밤부터 가게 주방 식탁에 앉아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이 생애 최초의 소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로 1979년 《군조》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등단했다. 1981년부터 가게를 접고 전업 작가로서 소설 집필에 몰두, 1987년에 발표한 『노르웨이의 숲』이 경이로운 판매 기록을 세우며 일본 문화계에 ‘무라카미 하루키 신드롬’을 일으키면서 이를 계기로 단단한 핵심 독자층이 형성되었다. 『양을 둘러싼 모험』『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태엽 감는 새』『1Q84』『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 등 화제작을 차례차례 발표, 일본을 넘어 아시아를 비롯한 미국, 유럽, 러시아까지 총 5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고 장기간 베스트셀러 목록에 오르면서 세계적인 작가로 명성을 확고히 했다. 그 밖에 장편소설 『1973년의 핀볼』『댄스 댄스 댄스』『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해변의 카프카』『애프터 다크』, 단편소설집 『중국행 슬로보트』『TV 피플』『도쿄 기담집』『여자 없는 남자들』, 논픽션 『언더그라운드』, 에세이와 여행서, 번역서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직업으로서의 소설가’로서 진지한 자기 혁신의 창조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하루키가 이야기하는 소설가로서의 삶은 단순한 직업 이상의 무언가를 제시합니다. 삶의 철학이 담긴 이 책은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 혹은 창작의 길을 가고 싶은 분들이라면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내용이 가득하죠. 전 세계의 독자들로부터 사랑받아온 하루키의 이야기로 조금 더 깊이 있는 성찰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이 책 추천을 통해 여러분도 하루키처럼 자신의 세상을 탐구하는 소소한 폭발을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책 추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