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새로운 책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요즘 제가 요리책도 보고 라이프스타일 관련 책도 읽고 있는데, 신기하게도 심리학 책에도 손이 가더라고요. 그런데 그중에서도 ‘행복의 기원’이란 책은 저에게 큰 울림을 주었답니다. 아무래도 제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행복이라는 주제를 가장 궁금해 하고 고민했던 것 같아서 이번 기회에 제대로 한번 넉넉히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게시물 최하단의 구매링크로 편리하게 구매하세요!
행복의 기원
서은국
인간은 행복하기 위해 사는 게 아니라, 살기 위해 행복을 느낀다
진화생물학으로 추적하는 인간 행복의 기원
목차
- 추천의 글
- 개정판 서문
- 서문
- 1장. 행복은 생각인가
- 2장. 인간은 100퍼센트 동물이다
- 3장. 다윈과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행복
- 4장. 동전 탐지기로 찾는 행복
- 5장. 결국은 사람이다
- 6장. 행복은 아이스크림이다
- 7장. ‘사람쟁이’ 성격
- 8장. 한국인의 행복
- 9장. 오컴의 날로 행복을 베다
- 개정판 발문. 행복은 ‘유령’의 작품이 아니다
- QnA
- 참고 문헌
- …
이 책의 저자 서은국 교수는 인생의 궁극적 목적이 행복이라는 우리의 통념을 크게 뒤흔드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언제나 내가 행복한 것인지, 행복해지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고민했었거든요. 하지만 서 교수는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생존과 번식을 위해 설계된 동물임을 말합니다. 처음 이런 것을 접했을 때, 참 어쩌면 너무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생각일까 싶었어요. 하지만 읽다 보니 그 말이 더욱 설득력이 있게 다가왔답니다. 생존을 위해 경험하는 행복이란 결국 우리가 심리적으로 느끼는 큰 기쁨보다는 작은 것들이 많았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예를 들어, 친구들과 함께 음식을 나누는 순간이나, 작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것들 말이죠. 그런 소소한 것들이 모여 나의 행복을 형성한다는 사실이 크게 와닿았습니다. 그리고 어쩌면 우리가 행복에 대해 노력할 때 놓치는 것들이 많다는 걸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도 되었네요. 사실 사회적인 존재로서 우리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많은 행복을 느끼게 된다니, 행복의 본질은 혼자서는 이룰 수 없는 것이었구나,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죠. 큰 기쁨이 아니라 ‘빈도’가 진정한 행복이라는 부분은 진짜 남다른 통찰이었습니다. 완전히 적응해버린 삶 속에서 행복을 느끼기 위해 얼마나 많은 변화를 주어야 하는지를 다윈의 관점에서 보게 된 것은 정말 유익한 경험이었습니다. 결국 행복이란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것들이 아니라, 생각보다 단순하고 소소한 것들에도 있다. 이걸 다시금 각인하게 해준 ‘행복의 기원’은, 제가 좋아하는 책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어요. 이 책을 만난 덕분에 이제 행복을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느끼는’ 경험이 더 많이 있을 수 있을 것이라는 짧은 깨달음을 얻게 되었답니다.
저자 ‘ 서은국’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세계적 행복 심리학자이다. 연세대학교 졸업 후 일리노이대학교(UIUC)에서 행복 심리학의 창시자 에드 디너(Ed Diener) 교수의 지도 아래 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UC, Irvine) 심리학과에서 종신 교수직을 받은 뒤,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연구와 강의에 힘쓰고 있다. 서 교수가 출판한 행복 논문 100여 편은 학계에서 9만 회 이상 인용되고 있으며(Google Scholar) OECD 행복 보고서에 참고 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2011년에는 벨기에 교육잡지 《클라세》의 편집장인 레오 보르만스(Leo Bormans)가 집대성한 글로벌 프로젝트에서 ‘세계 100인의 행복 학자’에 선정되어 『세상 모든 행복(World Book of Happiness)』에 기고했고, 2023년에는 한국심리학회 올해의 학술상을 수상했다. 학문적 연구와 더불어 UN 산하 국제행복기구, 한국통계청, 국회미래연구소 등에 행복 자문을 하였고, 동료 학자들과 UN에 ‘행복 지수’ 측정 제안서를 제출함으로써 갤럽의 연례 국가별 행복 지수 조사가 정착되는 데에 기여하기도 했다. 조선일보 칼럼과 KBS, EBS, JTBC 등의 인터뷰와 강의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행복의 ‘차가운’ 진실을 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행복의 기원』을 비롯해 에드 디너 교수와 함께 편저한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문화와 주관적 안녕감)』, 공저서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등이 있으며, 『긍정 심리학 입문』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공역)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결국, 행복은 단순한 감정의 산물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 속 깊은 관계 속에서 스며드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처럼 행복의 근본에 대해 고민한 경험이 있다면, ‘행복의 기원’을 읽어보는 것을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이 책을 통해 불행할까 두려워하는 대신, 하루하루의 작은 순간들을 소중히 여기는 소중함을 다시금 깨닫게 된 경험이었습니다. 서은국 교수님, 정말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