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대중문화, 책 리뷰

『미로 1호: 참조와 인용』, 예술/대중문화 분야 59위의 책 추천

안녕하세요~ 오늘은 특별하고도 의미 있는 책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 오늘 제가 읽은 책은 『미로 1호: 참조와 인용』입니다. 선뜻 이름만으로 다가오는 이 책은 제가 정말 흥미롭게 느꼈던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블로그와 예술,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니 이렇게 건축 잡지까지 손을 대게 되더라고요~ 책 추천을 통해 여러분과 함께 공유하고 싶어요!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바로 구매하세요!




미로 1호: 참조와 인용

미로 편집실 외

『미로 1호: 참조와 인용』, 예술/대중문화 분야 59위의 책 추천

목차



  • [미로 1호: 참조와 인용(미로 1) 목차]
  • 참조와 인용
  • 창간사
  • 『미로 1: 참조와 인용』을 엮으며
  • 김광수 ㆍ 자기 참조 이후의 건축


이 책은 한국 현대 건축에 관한 담론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기록하려는 미로 편집실의 심혈이 담긴 창간호입니다. “참조와 인용”이라는 주제는 건축이 단순한 공간의 형성이 아니라, 지식의 교류와 문화적 흐름을 반영하는 복합적 과정임을 보여줍니다. 김광수, 서재원, 김효영, 임윤택, 이희준 등의 저자들이 원문을 통해 학술적인 접근으로 한국 건축의 역사적 맥락을 끌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특히, 건축물들이 단순한 외관을 넘어 각기 다르게 표현되는 이야기들을 보여준 점은 제가 예상한 것보다 훨씬 더 깊은 감동을 주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제 자신이 얼마나 많은 것들을 보지 못했는지를 깨달았습니다. 바로 그것이 이 책의 필요성과 중요성인 것 같습니다. 책 추천으로 ‘미로’를 통해 한국 건축을 재조명해볼 기회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건 꼭 많은 분들이 읽어봐야 할 멋진 콘텐츠입니다. 작가는 저에게 반문하게 만들었습니다. 과연 현대 건축은 참조와 인용 없이 자생할 수 있을까? 그 고민은 끝이 없었습니다. 이 책이 갖는 힘은 그저 읽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고, 나아가 건축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확대시키고자 하는 노력에 있습니다. 건축은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란 것이죠. 순환되는 건축의 언어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사회의 정체성을 통해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게 만듭니다. 그 점에서 이 책은 독자들을 깊은 성찰에 이르게 하는 훌륭한 길잡이가 됩니다. 왜냐하면 이를 통해 우리는 건축의 사회문화적 면모가 우리 일상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고민하게 되니까요. 나아가 이 책에서는 비참조적 건축의 유행을 다루기도 했는데, 현대 한국의 다양한 음성을 듣고 느껴보는 과정은 심오한 성찰을 이끌어냈습니다. 다가구, 상업시설 등 일상의 건축들이 과거의 참조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고찰하게 했습니다. 결국 이 책은 단순하다기보다 허를 찌르는 각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저자 ‘미로 편집실 외’에 대하여

정림건축문화재단은 건축문화의 성숙과 확장을 위해 일합니다. 건축문화의 매개자이자 플랫폼으로서 미디어, 출판, 연구, 교육 등 폭넓은 영역에서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사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재단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삶의 중요한 바탕인 건축을 문화적 형태로 전달하고, 건축계의 담론 형성을 돕고, 건축의 사회문화적 면모가 우리 일상에 자리 잡도록 힘쓰고 있습니다. junglim.org


결론적으로 이 책은 블로그를 시작하거나, 현대 건축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아주 적합한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의 건축 문화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깊이 이해하고 싶으신 분들, 학술적인 접근을 원하시는 분들께 추천하고 싶습니다! 또한, 이 책은 재단의 의도와 목적이 잘 드러나고 있어 매우 유익한 독서 경험을 제공할 것입니다. 하나의 책 추천으로 저를 이렇게 고무시키고 생각하게 해주다니, 신기하고 감동스러웠습니다. 이제 블로그를 시작하는 분들이라면 이 기회를 통해 한국 건축의 흐름을 같이 고민해보면 좋겠어요!




이 책이 마음에 든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바로 구매하세요!

📚 다른 책도 둘러보세요